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및 신청기간 2025 총정리

by 콰이디엔 2025. 6. 30.
반응형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신청방법, 금리 비교까지! 2025년 최신 정보로 한눈에 가장 정확하고 최신 정보로 알려드리려고 해요. ‘나는 해당될까?’, ‘대학생도 가능할까?’라는 질문이 드셨다면, 이 글이 큰 도움이 될 거예요.

 

 

✅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층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정부가 만든 비과세 + 정부지원금 + 이자 수익 혜택이 있는 금융상품입니다.

 

  • 상품종류: 자유적립식, 만기연장 불가
  • 가입기간: 5년
  • 납입한도: 월 최대 70만 원, 연간 840만 원
  • 이자지급방식: 만기일시지급식, 이자 전액 비과세
  • 지원혜택:
    • 은행이자
    • 소득 구간별 정부기여금
    • 저소득층 대상 우대금리

저도 처음에 ‘매달 70만 원은 부담 아닐까?’ 고민했지만,1천 원 ~ 70만 원 내 매월 자유롭게 납입이 가능, 금액 조정이 가능해서 꾸준히 이어갈 수 있을 것 같아요.

 

 

🧾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4가지 핵심 체크

2025년 기준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은 다음 4가지를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1. 나이 조건
신청일 기준 만 19세 ~ 34세 이하
병역 복무기간 최대 6년 차감 가능
→ 군필자라면 만 40세까지도 가입 가능

2. 개인소득 요건
총급여 7,500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6,300만 원 이하
※ 육아휴직수당, 군 장병급여 포함
※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는 제외

3. 가구소득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
→ 1인 가구 기준 약 월 557만 원 이내 (2024년 기준) 

4. 금융소득 조건
최근 3개년도 중 1회라도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였던 경우 제외
→ 즉, 금융소득 2,000만 원 초과 경험 있으면 불가

 

 

예시 1) 1인 가구 청년
본인 연 소득: 28,000,000원
비교 기준: 66,853,350원
→ 1인 가구인데 중위소득 250% (66,853,350원) 미만이기 때문에 가입조건 충족

예시 2) 부모님과 거주 중인 3인 가구
본인: 25,000,000원
부모님 합산 소득: 100,000,000원
가구 합산: 125,000,000원
비교 기준: 141,439,710원
→ 3인 가구인데 중위소득 250% (141,439,710원) 미만이기 때문에 가입조건 충족

✔ 가구원은 청년 본인과 본인의 주민등록표 등본상 배우자, 부모, 자녀, 형제·자매(미성년자)를 기준으로 판단

 

 

📅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및 절차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은 2025년 연중 상시입니다. 단, 은행 예산에 따라 조기 마감 가능하므로 서둘러 신청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신청(가입) 방법

  • 비대면 신청만 가능 (매월 진행)
  • 참여 은행 앱에서 신청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기업, 부산, 대구, 광주, 전북, 경남)

가입절차

  1. 신청
  2. 자격 확인 (약 2주 소요)
  3. 가입 가능 여부 안내
  4. 계좌 개설

👉 저는 국민은행 어플에서 7/1 신청해 보려고요. 7월에는 7/1~7/11까지 가입신청을 받습니다 (주말 제외)

 

 

💰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금리 비교 (2025년 6월 기준)

 

청년도약계좌는 취급기관별 금리가 상이하므로 꼭 비교 후 신청하셔야 합니다.

👇 공식 금리 비교는 은행연합회에서 제공:
👉 청년도약계좌 금리 비교 바로가기

 

참고 : 주요 은행 금리 (2025년 6월 기준 평균)

 

📌 우대조건 : 급여이체, 자동이체, 카드사용실적 등.
👉 우대 조건 3가지를 충족해서 최고 금리를 받아보세요.

 

 

🎓 청년도약계좌 가입, 대학생 & 군인도 가능한가요?

 

네, 청년도약계좌 대학생도 가능합니다.
단, 본인 명의의 소득(아르바이트, 프리랜서 등) 또는 군 장병 급여가 있어야 하며, 가구 소득 요건도 충족해야 합니다.

👉 부모님의 건강보험료 납입 기준으로 가구소득을 계산해 보세요.

 

 

📝 청년희망적금과 차이는?

  • 청년희망적금은 2년 만기, 정부 지원금 최대 36만 원
  • 청년도약계좌는 5년 만기, 정부 기여금 최대 수백만 원 가능

👉 둘 다 동시에 가입은 불가능하며, 청년도약계좌가 혜택이 더 큼.

 

 

 

✅ 청년도약계좌 만기 수령 공식

① 납입액 + ②은행이자 + ③정부기여금 = 최종 만기 수령액

납입액

  • 매월 본인이 넣는 금액 × 개월 수
  • 예: 월 50만 원 × 60개월 = 30,000,000원

은행이자

  • 가입한 은행의 금리에 따라 발생
  • 복리 방식 + 만기일시지급 + 비과세
  • 예: 연 4.5% 금리 기준 5년간 월 50만 원 적립 시 → 약 3,129,000원 수익 (복리 적용)

정부기여금

  • 소득 구간 + 월 납입액에 따라 차등 지급 (최대 33,000원)
  • 예: 소득 4,800만 원 이하 + 월 50만 원 납입 → 15,000원 (정부기여금 3%) × 60개월 = 900,000원

 

✅ 시뮬레이션) 월 50만원 씩, 5년간 납입하면 약  3400만 원 수령 가능!

- 이 중 900,000원은 정부가 지원

- 이자 수익은 복리 혜택

- 이자 비과세 혜택

총 납입액 30,000,000원
이자 수익 3,219,000원
정부기여금 900,000원
최종 수령액 34,119,000원
 

 

📝 참고 팁

  • 납입액이 클수록, 소득이 낮을수록 정부기여금은 커집니다.
  • 이자는 비과세로 전액 수령 가능 (다른 예금보다 유리)
  • 중도해지하면 기여금 일부 환수되거나 이자 혜택 축소될 수 있음

 

 

🔍 청년도약계좌 팁

 

 

📢 마무리 체크리스트

✅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및 신청기간 정확히 확인
✅ 취급은행을 통틀어 1명당 1개의 계좌만 가입 가능
✅ 현재 청년희망적금을 가입 유지하고 있는 경우 가입 불가능
✅ 은행별 금리 비교 후 우대 조건 충족
✅ 대학생, 군 장병도 도전 가능
✅ 지금이 기회! 늦기 전에 신청하기

청년도약계좌는 그냥 저축이 아닙니다. 정부가 함께 모아주는 미래 준비 통장입니다.
신청기간이 열려 있는 지금, 5년 뒤를 위한 선택을 시작해 보세요!

👉 은행 앱에서 ‘청년도약계좌’ 검색 후, 매월 기간 내 신청 가능!
👉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주변 청년들에게도 꼭 공유해 주세요 :)

반응형